작성일 : 11-07-21 11:59
진주-창원 MBC ‘통폐합’ 보류
|
|
글쓴이 :
진주지부
 조회 : 408
|
|
방통위 ‘추후 논의’ … 일단 제동 통합 논리의 허구와 빈약성 드러나 |
|
|
|
|
방송통신위원회는 20일 오후 4시30분 전체 회의를 열고, 진주MBC와 창원MBC 합병 안건을 논의한 끝에 결론을 내지 못하고 추후 재논의 하기로 했다. 애초 3대 2(여야 추천) 위원회 구성에서 밀리고 밀려 ‘강제 통폐합’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정대균 MBC 수석 부위원장의 무기한 단식과 진주 지역 시민들의 대규모 동조 단식 등 ‘진주 MBC’ 사수 투쟁의 강고함과 진정성, 애초 강제 통합 논리의 빈약함 등이 다시 한 번 진주-창원MBC의 강제 통폐합 시도에 제동을 걸었다.
이날 전체회의에서 통합 심사위는 허가 기준인 650을 상회하는 679점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심사위는 진주와 창원 MBC의 통합이 시청자 이익을 저해하지 않으며, 광역화로 복수연주소와 지역서비스 확대로 시너지 효과는 제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봤다.
또 지역프로그램 강화(비율 15%->20%)가 우선이 되고, 시사와 보도에 대한 제작비를 확대하고, 이후 다른 지역에서의 광역화 논의에서는 구성원들과 지역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성규 부위원장은 “진주 MBC가 신규 인력도 채용하지 못하고 있어 광역화로 정상화시켜야 한다”며 “노사 의견 등이 복수연주소, 광고총량제, 고용 안정 등으로 의견을 좁혔다”고 말했다. 홍 부위원장은 이어 “통폐합 과정의 주주총회와 이사회에서는 법적 하자가 없었으며, (통합은) 미디어렙과 별도이며, 지역방송의 경영상황은 호전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양문석 위원은 “(진주MBC는) 최근 경력직 5명을 뽑는 등 사실상 충분히 인력 충원이 가능했지만 않은 것이고, 지속적으로 매출액이 증가되고 있어 경영개선이 시급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양 위원은 이어 “광고총량제 등은 방통위가 현재 보장할 수 있는 사안도 아니며, 고용보장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양 위원은 이어 “지역방송지원을 위한 기본 프레임인 미디어렙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 확정된 이후에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조했다.
김충식 위원은 “방송사 통폐합은 군부와 경영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진주MBC와 창원MBC 모두 흑자로 인위적으로 통합하려는 경영의도가 이해되지 않는다”라며 “억지와 모순투성이인 제안서를 방통위에서 승인하면 매우 부끄럽게 된다”며 안건 철회를 요구했다.
김충식 위원은 이어 “사측 압력, 민원, 이해관계자들이 있다고 해서 무리하게 승인하는 것은 반대”라고 입장을 확고히 했다.
이에 대해 신용섭 위원은 “네트웍 보다는 컨텐츠가 중요하며, 미디어빅뱅에 글로벌 미디어 그룹에게 질 수 밖에 없다”며 “소위 중계차가 각각 1대씩 있는 것을 1대로 통합해 컨텐츠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찬반 의견이 명확하게 갈리자 홍성규 부위원장은 “반대여론이 있으며, 1년 가까이 시간을 경과한 중요한 사안으로 조금 더 시간을 갖고 검토하자”며 보류의 뜻을 밝혔다.
최시중 위원장은 “두 위원들이 성명을 내고, 통합 반대 시위도 있고, MBC에서는 이달 말까지 결론 내야한다는 등 오늘 회의 역시 여야 대결처럼 의견이 팽팽하다”며 “사실 결론을 내려했으나, 마음이 불편하다. 기간을 조금 더 연장해도 대세에 지장이 없고, 변화되는 상황도 있을 것으로 다음 회의로 미뤄 추후에 논의하자”고 말했다.
한편, 전체회의에 앞서 김충식, 양문석 상임위원은 ‘진주-창원 MBC 통폐합 승인은 안 된다’라는 성명을 냈다.
|
|
|
|